2024년,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자녀 가구에 대한 복지 혜택이 강화되고 있습니다.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며, 혜택은 각 지자체 및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다자녀 가구로서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복지 혜택을 분야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.
1. 출산 및 의료비 혜택
1) 출산 지원금
일부 지자체는 출산 장려금과 출산 비용을 지원하며, 자녀 수에 따라 축하금을 지급합니다.
세부 사항은 ‘아이사랑 홈페이지’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) 의료비 지원
난청 신생아, 선천성 이상아, 미숙아 등에 대해서도 치료비를 지원합니다.
2. 주거 혜택
1) 주택특별공급
일정 조건을 충족한 다자녀 가구는 청약 경쟁 없이 주택을 분양받을 수 있습니다. 자세한 내용은 ‘청약Home 홈페이지’를 참고하세요.
2) 국민임대주택 우선공급
저소득 다자녀 가구를 위해 국민임대주택 우선 공급 혜택이 제공됩니다.
3. 양육 및 교육 혜택
1) 양육 지원
자녀가 2명 이상이면서 영유아가 있는 가구는 어린이집 우선 입소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‘아이돌봄 서비스’ 비용도 일부 지원됩니다.
2) 교육 지원
자녀가 3명 이상인 가구는 국가 장학금을 받을 수 있고,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을 소득 구간과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.
4. 공공요금 감면 혜택
1) 전기, 도시가스, 난방 요금 감면
자녀가 3명 이상인 가구는 공공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한국전력공사 및 한국가스공사 홈페이지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) 공공시설 요금 감면
다둥이 카드를 소지한 가구는 국립수목원 무료 입장, 철도 운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5. 세금 감면 및 기타 혜택
1) 자동차 취득세 감면
18세 미만 자녀가 3명 이상인 가구는 자동차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) 종합소득세 공제
8세 이상 자녀 수에 따라 추가 세액공제가 제공됩니다.
3) 국민연금 출산 크레딧
둘째 자녀 이상부터 국민연금 가입 기간을 추가 인정받을 수 있는 출산 크레딧 제도가 적용됩니다.
다자녀 가구로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,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지자체를 통해 적용 가능한 정책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6.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
행복한 출산, 출산지원금 꼼꼼하게 준비하기
출산은 가정에 큰 축복이자 기쁨을 가져오는 동시에, 여러 행정 절차와 지원금을 신청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. 출생신고는 태어난 아기의 법적 신분을 등록하는 첫걸음이며, 이를 통해 국
news72.co.kr
댓글